반응형

linux2 33

centos 명령어 모음집!!

centos 5.대 명령어 경로 사용유형 설명 .bash_history 각 계정의 홈 디렉터리 편집 사용자가 적었던 명령어 기록 .bash_logout 각 계정의 홈 디렉터리 편집 로그아웃시 실행되는 배치파일 .bash_profile 각 계정의 홈 디렉터리 편집 로그인시 실행될 항목 .bashrc 각 계정의 홈 디렉터리 편집 단축키 설정 .vimrc 각 계정의 홈 디렉터리 생성->편집 vi편집기 설정 at 예약작업 at.allow /etc 편집 특정 계정 at 허용 at.deny /etc 편집 특정 계정 at 거부 atd /etc/init.d at 데몬 atq 예약 작업 보기 atrm 예약 작업 지우기 bc 계산기 cal 달력 cat 파일 생성, 내용 보기 cd 디렉터리 이동 chage 계정, 암호 만료..

linux2 2013.02.21

12일차 DNS (apache 서버 준비)

resolv.conf search co.kr // 도메인 검색시 co.kr을 붙여서 검색한다. 예를 들어 kornet을 입력시 kornet.co.kr로 검색함. ※ resolve.conf는 네트워크 재시작시 초기화 됨. /etc/.resolve.conf.swap은 dead lock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이것은 다음 저장시에 쓰이므로 지워주지 않으면 제대로 고칠 수 없다. 아파치서버 준비용 셋팅. Image1: SCSI 1Gb 추가 /hosting_user 마운트 자동마운트 및 사용자 기본 홈디렉토리 설정 Image2: SCSI type 2Gb 추가 후 /local_user 마운트 자동마운트 및 사용자 기본 홈디렉토리설정 1. Domain escit.net 2. 설정 ㄱ.Image1 Host(HOST IP..

linux2 2013.02.20

11일차 DNS 다시 달리자!

실습문제 image1 압축해제후 1.NS/DNS에 관련된 Package 설치 2.NS/DNS 설정에 관한 원본파일 backup 3.DNS 설정사항 ㄱ.Domain: lego.org ㄴ.NS/DNS: 53(HOST IP) ㄷ.HOST: www(NS), mysql, vftp 4.모든 작업 완료 후 nslookup 결과를 출력 lego.org를 사용하는 내부도메인을 만들자 (www(ns), msql, vftp) 53번 IP를 사용함. 슈퍼DNS (168.126.63.1) 모든 파일은 복사시 cp -p 를 사용하여 계정정보까지 모두 복사하여 사용한다. root.named의 소유권이어야만 실행된다. [root@localhost ~]# vi /etc/sysconfig/selinux 두 가지가 있다. /etc/sel..

linux2 2013.02.19

9일차 Autofs

Autofs 1. 정의 : - 자동 마운트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1) 사용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2) 일정시간동안 사용을 하지 않으면 언마운트하는 데몬 3) NFS나 cd/dvd rom 장치, floopy와 같이 자주 사용되지 않는 장치를 마운트 할 때 사용하는 데몬 2. pkg - autofs~.rpm [root@localhost ~]# rpm -qa|grep autofs autofs-5.0.5-54.el6.i686 3. Autofs 데몬 활성화 # /etc/rc.d/init.d/autofs restart autofs (NFS mount) server 설정 # /etc/exports 설정 // 접속을 허용할 클라이언트 설정 # exportfs -ra 로 reset all // # /etc/rc.d..

linux2 2013.02.15

유닉스 파일시스템

1. UNIX 파일 시스템의 구조 -unix 파일 시스템은 User Data와 Meta Data로 구분 할 수 있다. User 데이터는 실제로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적인 데이터를 뜻하며, Meta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의 정보나 다른파일 시스템의 Meta 데이터를 포함 하는 파일과 관련된 정보 들이다. Meta Data 에 포함 되는 영역은 다음과 같다. -Superblock 파일 시스템의 첫머리 부근에 있는 8KB 크기의 디스크 블록으로 파일 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가지는 영역이다. 파일시스템의 타입(type), 크기(size), 상태(status) 그밖의 다른 파일 시스템의 metadata structure 에 대한 포인터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이러한 슈퍼 블록은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

linux2 2013.02.15

9일차 nfs

이전 시간에 fstab에 대해서 진행하며 UUID부분에 마운트 위치를 적어줘도 되지만 UUID를 사용하는 이유는 물리적값을 직접 적음으로써 scsi와 IDE 타입이 혼재된 시스템에서 장치명이 렌덤으로 바껴 야기되는 혼란을 피할 수 있다. SCSI끼리는 괜찮다. 그러나 IDE가 추가되면 IDE가 sda와 같이 sd*중 가장 앞자리로 할당되고 scsi는 모두 뒤로 하나씩 밀린다. 그러나 두 번째부터는 렌덤으로 할당된다. UUID는 유닉스 관련 파일시스템인 GTP 파티션의 GUID와 유사하며 윈도우는 아래와 같이 할당된다. C:\Users\Administrator>bcdedit Windows 부팅 로더 ------------------- identifier {current} device partition=C:..

linux2 2013.02.14

시스템 주요파일 복구방법(fstab,passwd,shadow)

passwd의 경우 passwd- 라는 백업파일본이 존재한다. shadow는 이 passwd를 기반으로 pwconv로 동기화시켜줄 수 있다. pwunconv시 수정할 수 없다. fstab의 경우 조금 복잡하다. 먼저 fstab이 날라간 후 재부팅시 부팅이 되지 않는다. 이때 설치CD를 삽입한 후(일반적으로 1번 CD) f2번을 연타해 cmos의 bios프로그램으로 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나 -를 활용해 cd부팅을 1순위로 올린다. 재부팅 시, 설치 때 나타나는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서 rescue모드로 들어가거나 esc를 눌러서 boot:rescue linux 라고 입력하면 자동으로 sysimage(하드 이미지)가 마운트된다.(/mnt/sysimage) CD(change directoy)명령어로 /mn..

linux2 2013.02.14

8일차, SCP(secure Copy)

※ scp이용시 유의사항 * ssh 설정파일 내 "보안설정(PermitRootLogin=no)"이 적용된 서버는 사용자로 로그인해야 한다. -> 권한에 대한 제약이 발생 (sftp와 유사) => 파일 전송시 업/다운로드 관련 DIR 및 file의 권한 scp -r (강제로 옮긴다. cp와 동일함) -p (소유권, 허가권, 파일 생성 정보등을 모두 가지고 옮긴다.) 사용법: scp 192.168.117.150:/backup/fstab /backup (x.x.x.200에 150에 있는 /backup/fstab 파일을 다운) scp /backup/fstab 192.168.117.200:/backup/ (x.x.x.150에 있는 fstab을 200에 업로드) 파일의 쓰기 권한(w)를 수정시 소유권(root.ro..

linux2 2013.02.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