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2

유닉스 파일시스템

컴공 2013. 2. 15. 11:15
반응형

1. UNIX 파일 시스템의 구조

-unix 파일 시스템은 User Data와 Meta Data로 구분 할 수 있다.
User 데이터는 실제로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적인 데이터를 뜻하며,
Meta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의 정보나 다른파일 시스템의 Meta 데이터를
포함 하는 파일과 관련된 정보 들이다.


Meta Data 에 포함 되는 영역은 다음과 같다.

-Superblock
파일 시스템의 첫머리 부근에 있는 8KB 크기의 디스크 블록으로
파일 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가지는 영역이다.
파일시스템의 타입(type), 크기(size), 상태(status) 그밖의
다른 파일 시스템의 metadata structure 에 대한 포인터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이러한 슈퍼 블록은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든 파일 시스템이 여러개의 복사본을 가지고 있으며
sync 명령이 수행될 떄마다 새롭게 갱신된다.

-I-nod
inod는 모든 파일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영역이다.
파일에 관한 이름정보를 제외한 파일의 타입(type),
권한(permission), 소유자(owner), 그룹(group), 크기(size)
등의 정보와 파일과 관련된 데이터 블록의 포인터를 가지고
있다.각각의 inod는 파일 시스템내에서 유일한 inod 넘버가
있어 그 값으로 인식한다.
ls -i [filename] 명령으로 inod 값을 볼 수 있다.

-directory
사용자나 어플리 케이션은 파일을 inod값이 아닌 이름으로
참조 하게 되는데 디렉토리는 이러한 파일 이름과 inod넘버
사이에 mapping 정보를 가지고 있다.

2. 파일시스템의 유형

- 유닉스의 대표적인 파일시스템으로 HFS,JFS,NFS,CDFS 등이
있다.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HFS
계층적 파일 시스템(hierarchical file system)
디스크 기반의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또는 폴더라는 파일들의
계층 구조로 되어 있다. 맨 위에 뿌리 디렉터리라는 주
디렉터리가 있고 거기서부터 부 디렉터리가 아래로 계층적으로
분기되어 나간다. 각 디렉터리는 파일들과 다른 디렉터리를
가질 수 있다. 뿌리 디렉터리에서부터 특정 파일까지의 디렉터리의
연쇄를 패스(path)라고 한다.
머리글자가 대문자로 표기된 Hierarchical File System은 애플
매킨토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계층 구조 파일 시스템의 현행판을
가리킨다


-JFS
저널 파일 시스템이란 백업 및 복구 능력이 있는 파일 시스템을
말한다. 디스크에 있는 인덱스가 갱신되기 전에 관련 내용이 로그에
기록되기 때문에 정전이나 다른 문제 때문에 인텍스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다시 시스템을 재가동하면 운영체제가 로그를 보고
인덱스를 재작성 및 복구를 할 수 있게 된다.따라서 HFS보다 좀더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다.


-NFS
NFS(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다수의 시스템이 동일한 파일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시스템이다. 원격시스템의 파일시스템을 마치 자신의 파일시스템
인것처럼 사용하는 기술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어떤 서버든지
서버의 디렉토리를 export 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가 사용
가능하다.


-CDFS
CDFS(CD-ROM File System)의 약자로 CD-ROM에 담겨있는 데이터를
access 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이다. CD-ROM 파일 시스템은 읽기
전용이므로 CD에서 읽을 수는 있으나 쓸수는 없다.

반응형

'linux2'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일차, DNS!!!!  (0) 2013.02.19
9일차 Autofs  (0) 2013.02.15
9일차 nfs  (0) 2013.02.14
시스템 주요파일 복구방법(fstab,passwd,shadow)  (0) 2013.02.14
8일차, SCP(secure Copy)  (0) 2013.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