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fs
1. 정의 :
- 자동 마운트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1) 사용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2) 일정시간동안 사용을 하지 않으면 언마운트하는 데몬
3) NFS나 cd/dvd rom 장치, floopy와 같이 자주 사용되지 않는 장치를 마운트 할 때 사용하는 데몬
2. pkg
- autofs~.rpm
autofs-5.0.5-54.el6.i686
3. Autofs 데몬 활성화
# /etc/rc.d/init.d/autofs restart
autofs (NFS mount) server 설정
# /etc/exports 설정 // 접속을 허용할 클라이언트 설정
# exportfs -ra 로 reset all // # /etc/rc.d/init.d/nfs restart를 재시작 안해도 적용됨(구동은 되있어야함)
# exportfs -v 로 확인
server에서는 마운트할 NFS만 설정하면 된다.
설정 뒤에는 # exportfs -ra로 마운트 설정을 적용하고 # exportfs -v로 확인하면 된다.
autofs (NFS mouint) client 설정
/etc/auto.master 설정
* automount 할 대상 디렉토리 마스터 설정파일
/misc /etc/auto.misc // 기본 홈디렉토리
/autofs /bacup/auto.fs // 사용자 지정 홈디렉토리 (예시) useradd -m -k와 유사
base MP Autofs 설정파일
계정생성시 만들어지는 폴더처럼 자동생성되는 디렉토리
autofs는 홈디렉토리 /misc는 사용자 디렉토리이다.
[root@localhost ~]# vi /etc/auto.misc
cd -fstype=iso9660,ro,nosuid,nodev :/dev/cdrom
afs_client -fstype=nfs,rw,nosuid 192.168.180.150:/ftp_linux
[마운트시 폴더명] [파일타입 nfs는 nfs,rw,nosuid] [호스트명 로컬은 x]:[마운트 포인트]
모든 설정이 마무리된 후에는
# /etc/rc.d/init.d/autofs restart
Autofs에서 unix는 기본적으로 nlockmgr 과 mountd를 사용(노가다로 일일이 추가)
CMD를 통해 접속해서 명령하는 것은 nfs로만 가져가면 iptable의 방화벽 중
111(portmap),2049(nfs) 포트만 되면 된다. (portmap은 xinetd의 기본 데몬이고 nfs는 ipatable에서 해제가능)
Autofs에서 unix는 기본적으로 nlockmgr 과 mountd를 사용하므로 일일이 수동 해제해야 한다.
[root@localhost nfs_server]# rpcinfo -p
program vers proto port service
100005 1 udp 51821 mountd
100005 1 tcp 44213 mountd
100005 2 udp 58270 mountd
100005 2 tcp 51253 mountd
100005 3 udp 35139 mountd
100005 3 tcp 58520 mountd
100021 1 udp 40356 nlockmgr
100021 1 tcp 53205 nlockmgr
35139, 40356, 44213, 51253, 51821, 53205, 58520, 58270 총 8개의 포트를 udp,tcp로 모두 해제해줘야 한다...(노가다이므로 iptable을 잠시 비활성화한 후 테스트)
실습문제(초급)
아래와 같이 nfs 및 autofs서비스를 설정하시오.
-조건-
a. 현재 적용된 NFS 모두를 umount 및 설정해제 하시오.
1. NFS server - Image1(x.x.x.150)
* SCSI type 1gb 추가 후 하나의 파티션 설정
* 파티션 MP : sdb1 - /nfs_server (자동마운트 설정)
* nfs_server를 nfs 서비스로 등록하시오.
2. NFS client - Image2(x.x.x.200)
* Image1: /nfs_server - MP -nfs test (Autofs로 설정)
vi /etc/auto.misc
afs_client -fstype=nfs,rw,nosuid 192.168.150:/nfs_server
아래와 같이 nfs 및 autofs 서비스를 설정하시오.
- 조건 -
a. 현재 적용된 NFS 모두를 Umount 및 설정해제 하시오.
1. NFS Server - Image 1 (150)
* SCSI type 1Gb 추가후 하나의 파티션 설정
* 파티션 MP : sdb1 - /nfs_server (자동 마운트도 설정)
* nfs_server 를 nfs 서비스로 등록하시오.
2. NFS Client - Image 2 (200)
* Image1:/nfs_server -> MP - /nfstest (autofs로 설정)
[ 실습 문제(중급) ]
아래와 같이 nfs 및 autofs 서비스를 설정하시오.
- 조건 -
a. 현재 적용된 NFS 모두를 Umount 및 설정해제 하시오.
1. NFS Server - Image 1 (53)
* SCSI type 1Gb 추가후 하나의 파티션 설정
* 파티션 MP : sdb1 - /nfs_server (자동 마운트도 설정)
* nfs_server 를 nfs 서비스로 등록하시오.
2. NFS Client - Image 2 (111)
* Image1:/nfs_server -> MP - nfstest (autofs로 설정)
2. NFS Client - Image 3 (200)
* Image1:/nfs_server -> MP - /nfs_image1 (/etc/fstab로 설정)
[ 실습 문제(상급) ]
아래와 같이 nfs 및 autofs 서비스를 설정하시오.
- 조건 -
a. 현재 적용된 NFS 모두를 Umount 및 설정해제 하시오.
1. NFS Server/Client - Image 1 (53)
* SCSI type 1Gb 추가후 하나의 파티션 설정
* 파티션 MP : sdb1 - /nfs_server (자동 마운트도 설정)
* nfs_server 를 nfs 서비스로 등록하시오.
* Image3:/nfs_server -> MP - nfs_image3 (autofs로 설정)
2. NFS Client - Image 2 (111)
* Image1:/nfs_server -> MP - nfstest (autofs로 설정)
* Image3:/nfs_server -> MP - nfstest2 (autofs로 설정)
3. NFS Server/Client - Image 3 (200)
* SCSI type 2Gb 추가후 하나의 파티션 설정
* 파티션 MP : sdb1 - /nfs_server (자동 마운트도 설정)
* nfs_server 를 nfs 서비스로 등록하시오.
* Image1:/nfs_server -> MP - /nfs_image1 (/etc/fstab 으로 설정)
[ 실습 문제 ]
아래와 같이 nfs 및 autofs 서비스를 설정하시오.
- 조건 -
a. 현재 적용된 NFS 모두를 Umount 및 설정해제 하시오.
b. 모든 리눅스 이미지의 Ram 을 "768"로 설정
1. NFS Server - Image 1 (53)
* 설정한 Host : ns, msql
* SCSI type 1Gb 추가후 하나의 파티션 설정
* 파티션 MP : sdb1 - /nfs_server (/etc/fstab 로 설정)
* nfs_server 를 nfs 서비스로 등록하시오.
2. NFS Client - Image 2 (80)
* 설정한 Host : www, vftp
* Image1:/nfs_server -> MP - nfstest (autofs로 설정)
2. NFS Client - Image 3 (100)
* 설정한 Host : test
* Image1:/nfs_server -> MP - /nfs_image1 (/etc/fstab 로 설정)
'linux2'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일차 DNS 다시 달리자! (0) | 2013.02.19 |
---|---|
10일차, DNS!!!! (0) | 2013.02.19 |
유닉스 파일시스템 (0) | 2013.02.15 |
9일차 nfs (0) | 2013.02.14 |
시스템 주요파일 복구방법(fstab,passwd,shadow) (0) | 201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