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NP(ROUTER)

8일차, EIGRP실습과 OSPF 실습

컴공 2013. 5. 16. 09:39
반응형

 

eigrp 장비실습.net

 

링크상태(link-state)
장점-루프가 안돈다.
단점-비싸다

거리*방향-디스턴스백터
링크*상태-링크 스테이트

link : interface 정보 (선 꽂힌걸 서로서로 준다)
state : neighbor
------------------- 다합쳐서 LSA라고 부른다.(link-state-advaerisment)
LSA나 link&state로 구성한다고 한다.

1. neigbortable(hello로 먼저 만듬, 이후로 10초마다 찔러봄)
2. topology database 테이블에 다 때려넣는다. (전체 토폴로지가 들어간다)
  dual(S , FS)
Eigrp (거리), OSPF(링크,상태)

SPF(Shortest Path First)
트리구조로 바꾼뒤에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한다.

OSPF
표준
AD - 110
수렴시간 - 빠르다
동작방식 - Only classless

잦은 업데이트로 CPU부하가 심하다
정보를 모두 넣고 관리하기에 메모리 사용률이 높다

라우터 갯수
RIP 16
EIGRP 100 ~120
OSPF 계층구조라 무한대
네트워크가 클수록 CPU 사용률 증가
  저장량이 커져서 memory증가
 Bandwidth 증가

Area 단위로 나눠서 관리
backbone만 0번 area (그림에서 E 부분이 backbone이다)

백본에 붙은 라우터끼리만 하나의 에어리어로 통신이 된다.

그룹에 붙은것 Area Border Router(ABR)
ERD에 붙은 것 Autnomous system Border Router(ASBR)

 

 4장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거리값
metric (RIP,OSPF) -> cost (OSPF)

OSPF
router ospf [process-id] // 운영을 구분한다.
network address [wildcard-mask] area [area-id]

network 10.2.2.0 0.0.0.255 area 0
network 10.2.2.0 0.0.0.0 area 0 ---보내려는 쪽 ip만 적어도 된다.

OSPF는 NA까지는 축약이없다.

 

 


 

OSPF 장비 실습

ospf.net

 기본설정

OSPF 설정

O IA //interor Area (내부 area라고 하면서 다른 area에 속한 라우터 정보도 FR을 통해 나타난다)
FR은 둘다에 속해있어서 안 뜬다.

 

ACL

 

 

반응형

'CCNP(RO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일차 프레임릴레이  (0) 2013.05.22
9일차, ACL, NAT 설정.  (0) 2013.05.18
7일차 RIP, EIGRP  (0) 2013.05.15
6일차. 축약문제  (0) 2013.05.14
5-2일차 RIP  (0) 2013.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