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계층, hdlc/ppp (encapcul다르거나)
3계층 IP
4계층 UDP(user datagram protocol) - 비연결지향성, 속도가 빠르다.(520), EIGRP(70/90/1))
5계층 RIP (HTTP,SMTP,DNS(53),FTP)
RIP>
Interior Gateway Protocol
RIP : 거리벡터 120
AD:120
업데이트 주기 : 25~30초
metric : hop counts
classful
RIPv1>
classful / 255.255.255.255 / 브로드캐스트
RIPv2>
classful ->classless 지원 / 224.0.0.9/multicast
정리
cisco -- IGRP -> EIGRP
IGP계열의 발전된 거리벡터 or 하이브리드 프로토콜
4계층
AD : 축약5/내부 90 /외부 170
update 주기 : X->수렴시간이 빠르다.
Metric : 대역폭, 딜레이,(부하,신뢰도, MTU)
classfull -> classless 지원
광고주소 : 224.0.0.10
멀티캐스트 || classfull일 때에는 브로드 캐스트(255.255.255.255)로 광고
packet : hello, update, query, reply, ack
dual알고리즘으로 최적경로를 찾는다.
설정 >
1) router eigrp (AS number)
2) network [Netid] [wildcard-mask] //class단위로 적을 경우 생략가능
3) no auto-summary -> less
4) ip summary-address eigrp (AS number) ~ RIP이랑 같다.
장점 - 성능, 설정, 신뢰성, 수렴시간, 호환성
단점 - 호환성, 메트릭계산이 복잡.
확인>
1) show ip eigrp neighbors
2) show ip eigrp topology (all-link or detail-link 상세정보)
3) show ip route eigrp
4) show ip protocols -- router의 프로토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5) show ip eigrp traffic
6) debug ip eigrp
설정>
1) router rip
2) network (NetID, Major classful-서브네팅되기 이전의 클래스풀->v1, ful)
3) version 2 -> v2, full -> no auto-summary하면 less (전체통신O)
4) 광고하는 interface로 진입 ip suammary-address rip [축약된 네트워크] [축약된 서브넷마스크]5) #clear ip route *
확인 >
1)
show ip protocols - 타임, 프로토콜 정보 확인
2) show ip route
R 하나라도있다. 남 잘못
C만있으면 남잘못
3) debug ip rip / - undebug all
## IGRP - cisco전용
AS 하나 안에서 쓰는 것
AS안에서쓰는 라우팅 프로토콜
AD 100, full
### EIGRP
AD - 90
수렴시간 빠름, 업데이트 주기 필요없음.
full, less 지원
확인=================
대역폭 -- default
delay -- default show interface // controlers는 dce,dte만 확인한다.
신뢰도
부하
MTU
단점-메트릭 계산식 복잡, 시스코전용
장점- 신뢰도, 성능, 호환성
뿌리는 거리백터나 링크스테이트와 유사
Hybrid routing protocol이라고도 한다.
RIP처럼 30초마다 뿌리는게 아니라, 5개 패킷을 이용해 작업한다.
RIP은 update패킷만 썼다고 볼 수 있다.
라우팅테이블 만들 때
Hellow -
1. neighbor발견을 위한것(친구를 맺는다.)
2. neighbor를 유지하는 안부인사(5초마다) 패킷용량이 거의 없다.
Update -
------------------> 정상적인 라우팅 테이블 만들 때 씀
Query - 대체 경로를 답변받기 위해서 묻는다.
Reply - Query에 대한 응답
------------------->문제상황 발생시 볼 수 있는 것
ACK - 확인 응답(데이터 전달여부만 확인응답) (업데이트, 쿼리에 대해서 응답)
4계층 프로토콜
백업경로까지 다 날아가면 새로 테이블을 만들어야 한다.
query를 날려 확인.
설정이 쉽다.
수렴시간이 짧다.
신뢰성이 높다(ack)
Successor
Feasible Successor - 백업 테이블
EIGRP 설정
Router(config)#router eigrp autonomous-system
Router(config-router)#network network-number [wildcard]
RIP이랑 똑같이 classfull로 적으면 생략가능
## EIGRP 연결 수립시 확인
C 확인하고 없으면 ping으로 연결확인하고 라우팅 테이블 확인
show ip eigrp neighbors
show ip eigrp topology -주고 받은 최적경로,백업경로 정보가 나타난다.
show ip eigrp topology all-link / detail-link 하면 모든 정보가 다 나타난다.
D - Dual의 약자
show ip protocols
show ip eigrp traffic -- 교통량을 패킷별로 확인한다. (네트워크)
EIGRP 테이블
eigrp.net // EIGRP 설정
224.0.0.10으로 멀티케스트 광고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재밌는거! R3에 루프백하나 만든당
R3(config)#interface loopback 2
R3(config-if)#ip address 200.200.200.200 255.255.255.0
하나의 AS외부 경로
AS와 AS끼리도 통신해야함.
다음과 같이 update & Ack 를 통해 토폴로지에 새로운 네트워크가 추가 되었음을 알려준다.
loopback1을 죽이면 다음과 같이 사라지는 정보(100.100.100.0/24)가 나타나며, 네트워크가 삭제 됐다는 것을 Query & Reply가 응답해준다.
## EIGRP 토폴로지 확인
EIGRP는 기본적으로 successors와 feasible successors가 있다.
EIGRP는 RIP처럼
축약 (redistribute connected)
외부경로를 끌고옴
R3(config)#router eigrp 65000
redistribute //다시 학습을 하겠다.(재분배)
R3(config-router)#redistribute ?
축약을 하고 나면 다음과 같이 new adjacency가 뜬다. 반대로 축약을 해제하면 Interface Goodbye received
가 뜬다.
%DUAL-5-NBRCHANGE: IP-EIGRP 1: Neighbor 1.1.12.1 (Serial0/0) is down: Interface Goodbye received
%DUAL-5-NBRCHANGE: IP-EIGRP 1: Neighbor 1.1.12.1 (Serial0/0) is up: new adjacency
show ip route로 라우팅 테이블을 보면 다음과 같이 축약이 된 경로의 경우 다음과 같이 D EX로 나타난다.
R1#show ip route 14.14.32.0 //축약된 경로에 대해서 자세히 보겠다.
축약된 경우 5로 나타남.
'CCNP(RO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일차, ACL, NAT 설정. (0) | 2013.05.18 |
---|---|
8일차, EIGRP실습과 OSPF 실습 (0) | 2013.05.16 |
6일차. 축약문제 (0) | 2013.05.14 |
5-2일차 RIP (0) | 2013.05.10 |
5-1일차. 다이나믹 (0) | 201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