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NP(ROUTER)

3일차 static->default 라우팅. 실장비 라우터 복구

컴공 2013. 5. 8. 14:04
반응형

## 길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RAS(Remote Access System)을 이용하여 콘솔 케이블 길이제한을 해결한다.


## 앞으로 IP 설정.

IP address x.x.u.z/24
x:day
y:sourcd-destination router number
z:router number

loopback x.x.z.z/24


# static -> default 라우팅 설정.

 

ip addr X.X.Y.Z ( 날짜.날짜.출발R번호-도착R번호.R번호)
loop X.X.Z.Z

en
conf t
no ip domain-look
line con 0
exec-t 0
logg syn
exi
hostname

\\\\\\\\\\\\\\\\\\\\\\\\\\\\\\\\\\\
문제 : R1# ping 8.8.4.4 source 8.8.1.1 ->!!!

ICMP Type 8 (D:8.8.4.4 / S: 8.8.1.1)            default 설정
R1: ip route 8.8.4.0 255.255.255.0 s1/0  -> ip route 0.0.0.0 255.255.255.0 s1/0
R2: ip route 8.8.4.0 255.255.255.0 s1/1  -> ip route 0.0.0.0 255.255.255.0 s1/1
R3: ip route 8.8.4.0 255.255.255.0 s1/0  -> ip route 0.0.0.0 255.255.255.0 s1/0

ICMP Type 0 (D:8.8.1.1 / S: 8.8.4.4)            default 설정
R4: ip route 8.8.1.0 255.255.255.0 s1/0   -> ip route 0.0.0.0 255.255.255.0 s1/0
R3: ip route 8.8.1.0 255.255.255.0 s1/1   -> ip route 0.0.0.0 255.255.255.0 s1/1
R2: ip route 8.8.1.0 255.255.255.0 s1/0   -> ip route 0.0.0.0 255.255.255.0 s1/0

stop network - 들어오고 나가는 길이 하나밖에 없는 것.

## static 라우팅의 단점
1) 전송속도가 느려진다.
2) 모두 다 읽고 시작한다.

S* : 0.0.0.0/0 [1/0] via 8.8.12.2 // 상세정보가 없을 때 따라가는 게  default
 AD / metric
R* : rip
D* : eigrp
O* : ospf


--------------------------------------------------
AD (관리거리) :  라우팅 테이블에 누구를 올릴지 선택
RIP : 120
OSPF 110
IGRP 100
EIGRP 90
CONNECT 10

--메트릭---------------------
distance vector -- 일정한 시간마다 업데이트를 함.
linkstate           -- 수정되기 전에는 업데이트를 하지 않음.

RIP --hopcount
EIGRP ---bandwith, MTU,
OSPF

 

## 실장비 사용을 위한 터미널 설정


connect 버튼을 클릭하여 세션을 추가해준다.




* open in tab을 클릭해야지만, 각각의 터미널을 탭으로 넘기면서 사용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추가되는 세션은 telnet(23번 포트)이나, 학원은 하나의 아이피로 두 대의 RAS(Remote Access System)을 사용하기 위해서 각각 다른 두개의 포트를 열어놨다.

# 실장비
ID: cisco
PW: H@ckers
\\\\\\\\\\\\\\\\
14.39.7.42 :2003  --- 첫번째 라스
14.39.7.42 :2004  --- 두번째 라스

FR 조번호
R (조) 1
R (조) 2 =========== R32 나임
R (조) 3
R (조) 4

## 접속시 유의사항
clear line 16 [뒷번호 두개만]
clt + shift +6 하고나서  x키 누르면 나와진다.
clear line 20xx 에서 - 2000한 값을 클리어 한다.

## 장비 설정시 우선사항
1) 초기화를 우선적으로 한다.
r32#erase startup-config

2) vlan.dat
Delete flash: vlan.dat? [confirm]

3) 재부팅했을 때
r32# reload
System configuration has been modified. Save? [yes/no]: no

4) 재부팅 후
Would you like to enter the initial configuration dialog? [yes/no]: no
*차단 명령어
pw xxx
copy xxx
flash xx  

## 장비의 접근이 불가능할 때, 복구를 위한 설정.
패킷트레이서를 열어서 2621XM을 만든다. 2621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장비이고, 학원에서도 이 장비를 이용하여 라우터를 구성하였다.

 

우선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console 라인에 암호를 걸고 저장하였다.


Router(config)#enable secret cisco
Router(config)#line console 0
Router(config-line)#password cisco
Router(config-line)#login

 재부팅해도 잘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패킷트레이서에서 전원을 내리고 다시 올렸다.

# 재부팅 후 에 clt + c 누르거나 no를 쳐서 유저모드로 들어간다.

# show version이나 초기 접속시 화면을 통해 장비의 정보를 확인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장비의 각 정보가 나타난다.

 

 
※ 부팅순서
1. POST (Power On seflt Test)
2. ROM에 위치한 Bootstrap (돌쇠?)을 로드한다.


3. RAM에 flash에 있는 IOS를 올린다.
4. NVRAM에서 이전에 저장해 뒀던 config정보를 저장되고 설정대화창(setup dialog)이 시작된다.

# 부팅 레지스터 번호의 의미
0x2102 : 정상
0x2142 : 복구 모드

## 라우터 복구
0x2142로 바꿈

1) 껏다 다시 부팅하면서 clt + break


rommon 1 > confreg 0x2142  //부팅 모드를 복구 모드로 바꾸기 위해서 레지스터를 0x2142로 바꿔준다.



2) 부팅
rommon 2 > reset

3) 부팅 후 전역설정에서 config-register 0x2102로 다시 정상모드로 바꾼다.
Router(config)#config-register 0x2102
Router(config)#do reload

 

 

 

 

반응형

'CCNP(RO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일차. 다이나믹  (0) 2013.05.10
4일차 Static protocol과 다이나믹(dynamic protocol)  (0) 2013.05.09
2-2 일차 STATIC을 이용한 라우팅.  (0) 2013.05.07
2-1일차. GNS3 설정  (0) 2013.05.07
1일차. 서브넷 복습.  (0) 2013.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