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NS 설정
GBS3 깔고, GBS3 폴더를 D:\에 옮긴다.
@ capture - nvram (startup-config) IOS(flash) ram(running-config) 등에 있는 내용들이 저장된다.
# startup 저장 - copy run start / wr / write memory
#와이어샤크로 캡처뜬것 저장.
.pcap(packet capture)
@ config - .cfg(설정 저장)
@ Doc - GNS관련문서저장(없어도 ㄴㄴ)
@ IOS - 2691 i-mz (라우터장비 운영체제)
@ Project - 물리적인 구성도 .net
@ working - 불필요한 작업파일들을 모아두는 것.
중간에 생성되는 __작업파일__들 저장.
# GNS3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GNS3의 단점은 설정이 까다로움
# all - in - one (dynamips, wincap, gns3) 파일 구성
GNS3 - 서버에 라우터올리고 설정
Dynamips - 컴퓨터에 IOS파일을 올릴 공간을 할당한다.
secureCRT - 터미널 종류중하나(putty)
### 설정
# 일반설정
터미널
서버공간안에 있는 라우터에 접속할 때 어떤 종류로 접속할지 설정. included with GNS3 (putty)로 오늘 설정
----------------
GUI설정
링크 추가시 언제나 수동으로 설정 체크(포트가 안꼬이도록 함) -- 자동으로 하면 자기가 알아서 포트설정.
ex) GNS3 상에서는 R1: serial 1/0 - R2: serial 1/1을 연결했는데. 콘솔창에서 할당시 자기가 알아서 가져감.
# dynamips
작업 디렉터리
작업드렉터리:D:\GNS3\working
작업디렉터리 삭제
테스트 안 누르면 작동안함
# 캡처
D:capture
========
D:\GNS3\IOS\c2691-i-mz.123-12a.bin
64 MB
2691
## IDLE 설정하기.
기본적으로 IDLE을 설정하지 않으면 CPU가 각각의 장비에 CPU점유율을 모두 내주지만, IDLE을 설정하면 하나의 CPU를 가지고 서로 인터럽트를 통해 실행하게 된다.
== IDLE 설정 하기 ====================================
일단 콘솔 창을 켜고 전역설정 모드까지 들어간다.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 idle값 설정 ]을 클릭하여 55에 가장가까운 값 저장하고 GNS를 끄고 다시 시작한다.
라우터 2600형은 모듈형
# 라우팅 장비 종류
고정형 -- 인터페이스가 고정되어 있다.
모듈 -- 교환이 가능하다.
WIC-1T (1나 달린 T) --작은 모듈
slot -- 손바닥 다들어가는 슬롯(NM) 큰거
손가락 들어가는 슬롯(WIC) 작은 것
wan - serial
lan - straight /cross
NM이라는 큰 슬롯을 사용하여 serial port가 4개 달린 TCP/IP를 사용할 수 있다.
DCE는 보내는 쪽이고 DTE 받는 쪽이다. 그러나 DTE의 역할은 컴퓨터가 알아서 하므로 아래에 보이는 기능들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 GNS3에서 설정해야 하는 두 가지.
- encapsulation show interface ~ ~
- ip
- bandwidth 1544k
- (DCE) clock rate show controllers ~ ~ //DCE 받는쪽 DTE 주는쪽 //꽂는 케이블이 없으므로 클럭 알아서해줌.
- no shutdown
--- 기본 명령어 --
> enable
# configure terminal
(config)# hostname xx
enable secret cisco
no ip domain-lookup
username (ID) password (PW) ///유저만드는 것
line console 0
(config-line)#password cisco
login
login local
exec-timeout 0 0
logging syncronous
line vty 0 4 ~ 15
(config-line)#password cisco
login
'CCNP(RO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일차. 다이나믹 (0) | 2013.05.10 |
---|---|
4일차 Static protocol과 다이나믹(dynamic protocol) (0) | 2013.05.09 |
3일차 static->default 라우팅. 실장비 라우터 복구 (0) | 2013.05.08 |
2-2 일차 STATIC을 이용한 라우팅. (0) | 2013.05.07 |
1일차. 서브넷 복습. (0) | 2013.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