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에서 사용하는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에 대해서 살펴본다. 근거리 통신망(LAN)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이더넷을 사용하지만 장거리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L2 프로토콜은 종류가 많다. 그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HDLC, PPP 및 프레임 릴레이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장거리 통신망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종류도 많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리얼(serial)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실습을 진행한다.
HDLC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는 IBM에서 사용하는 SDLC(synchronous data link control) 이후에 개발된 프로토콜로 프레임 릴레이, PPP, ATM 등보다 먼저 개발되었다. 표준 HDLC는 하나의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만 전송할 수 있으나, 시스코에서 사용되는 HDLC는 IP, IPX, AppleTalk 등 복수개의 레이어 3 프로토콜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약간 변형된 것이다.
두 대의 라우터를 동작시키고, 기본설정을 한다. R1,2의 기본설정은 다음과 같다.
r1(config)#interface s1/1
r1(config-if)#ip address 1.1.12.1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r2(config)#interface s1/1
r2(config-if)#ip addr 1.1.12.2 255.255.255.0
r2(config-if)#no shut
시리얼 인터페이스에서 별도로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HDLC가 레이어 2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show interface s1/1 명령어로 확인하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레이어 2 프로토콜이 HDLC이다.
PPP 개요
PPP(point to point protocol)는 HDLC와 마찬가지로 연결되는 상대가 하나인 포인트 투 포인트 환경에서 사용되는 장거리 통신망용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이다. PPP는 다시 LCP(link control protocol)와 NCP(network control protocol)로 구성된다.
LCP는 PPP로 동작하는 두 장비 사이의 링크를 셋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 회선 품질 모니터링
PPP는 프레임 수신측이 에러 없이 제대로 수신한 패킷 및 바이트 수를 상대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송신측이 자신이 보낸 수와 상대가 제대로 받았다고 알려 준 수를 비교하여 패킷 손실률을 계산한다. 이후, 사전 설정된 값 이상의 회선 에러가 발생하면 해당 링크를 다운시켜 라우팅 프로토콜로 하여금 더 좋은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회선 품질 모니터링(LQM, link quality monitoring) 기능이라고 한다.
- 링크 루프 탐지
PPP 링크를 구성하는 DSU/CSU, 장거리 통신망 등에서 상대가 보내는 프레임을 목적지로 전송하지 않고 거꾸로 상대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르 루프(loop) 테스트라고 한다. 주로 회선이나 도중의 장비가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특정한 장비에서 루프를 걸게 된다.
이처럼 루프 테스트 후에 다시 정상상태로 복귀시켜야 제대로 통신이 이루어지는데, 그대로 둔 경우나, 장애발생으로 루프가 걸리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링크 루프 상태를 PPP가 찾아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PPP가 LCP 메시지를 전송할 때 PPP 장비별로 고유한 매직 넘버(magic number)를 포함시킨다. 만약, 상대에게서 수신한 메시지에 내가 보낸 매직 넘버가 있다면 이 메시지는 내가 보낸 것이 도중에 루프가 걸려 되돌아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링크에 루프가 걸린 것을 탐지할 수 있다.
- Multilink
PPP 멀티링크(multilink) 기능을 사용하면 이더넷 스위치에서 사용하는 이더채널과 같이 여러 개의 회선을 하나의 회선처럼 사용할 수 있다.
- 인증
PPP는 상대방을 인증(authenticatioN)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인증방식으로 PAP, CHAR 등이 있다. PAP(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은 이용자명과 암호를 평문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떨어진다.그러나, CHAP(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을 사용하면, 실제 암호는 전송되지 않고, 암호를 이용해서 만든 코드값만 MD5방식으로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CHAP을 사용하면 PAP보다 훨씬 보안성이 좋다.
PPP의 LCP 옵션들은 모두 명시적으로 설정해주어야 동작한다. 이렇게 두 장비가 LCP 패킷을 전소앟여 링크를 설정하고, 링크가 설정되면 필요시 인증을 수행하낟. 이후, NCP가 동작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동작시킨다.
PPP를 이용한 시리얼 인터페이스 연결
PPP는 다른 레이어 2 프로토콜에 없는 인증 기능으로 인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의 하나이다. PPP는 설정이 간단하고, 표준 프로토콜이기 떄문에 전용선으로 라우터를 연결할 때 많이 사용된다.
또, ADSL, HDSL 및 케이블 네트워크 등에서 링크 계층 프로토콜로 이더넷이나 ATM을 많이 사용하낟. 이떄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PPPoE(PPP over Ethernet), PPPoA(PPP over ATM) 등의 형태로 이더넷이나 ARM과 PPP를 같이 사용한다. 다음과 같이 HDLC에서 사용했던 동일한 네트워크에서 PPP를 이용하여 WAN을 구성해보자.
r1(config)#int s1/1
r1(config-if)#encapsulation ppp
r2(config)#int s1/1
r2(config-if)#enc ppp
인캡슐레이션(레이어 2 프로토콜)을 HDLC로 변경하면 잠시 인터페이스가 다운되었다가 살아난다. show interface s1/1명령어로 확인해보면 PPP가 사용되고 있다.
# show ip route
1.0.0.0/8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1.12.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1/1
C 1.1.12.2/32 is directly connected, Serial1/1
ppp는 넥스트 홉 IP 주소를 호스트 루트(host route) 즉, 32비트 마스크를 가진 네트워크로 라우팅 테이블에 인스톨 시킨다. 필요시 이를 제거하려면 인터페아스에서 no peer neighbor-route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라우팅 테이블 정리하기
#clear ip route *
PPP 인증
PPP의 인증(authentication) 기능을 살펴보자. 이더넷, HDLC, ATM, 프레임 릴레이 등과 같은 다른 레이어 2 프로토콜이 가지지 못한 인증기능을 PPP는 가고 있다. R1, R2가 PPP로 통신할 때 상대를 인증하도록 설정해 보자.
# R1의 PPP 인증설정
r1(config)#username R2 password cisco
r1(config)#interface s1/1
r1(config-if)#encapsulation ppp // 이용자명과 암호를 지정하낟. 이때 이용자명은 상대 장비의 호스트 이름을 사용한다. 암호명은 두 라우터에서 동일하게 지정한다.
--------------------------------
r1(config-if)#ppp authentication chap
r1(config-if)#ip address 1.1.12.1 255.255.255.0 // 인증 방식을 지정한다. 사용할 수 인증방식은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다. 이 중 PAP 인증방식은 암호가 평문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보안성이 떨어진다.
R2의 PPP 인증 설정
r2(config)#username R2 password cisco
r2(config)#interface s1/1
r2(config-if)#encapsulation ppp
r2(config-if)#ppp authentication chap
r2(config-if)#ip address 1.1.12.1 255.255.255.0
1) 이용자명과 암호를 지정한다. 이때 이용자명은 상대 장비의 호스트 이름을 사용한다.
2) 인증방식을 지정한다. 이 설정을 하지 않으면 R1만 인증을 실행한다. 즉, R2가 R1과 접속하려면 인증을 통과해야한다. 그러나, R2에서도 ppp autentication chap 명령어를 사용하면 상호 인증을 하게 된다. 이 상황을 디버깅으로 확인해 보자. 다음과 같이 debug ppp aythentication 명령어를 사용하고, R1의 S1/1 인터페이스를 셨다운 시켰다가 다시 살려보자.
PPP 인증 디버깅
# debug ppp autentification
# conf t
#interface s1/1
#shut
#no shut
프레임 릴레이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는 장거리 통신망(WAN)에서 사용하는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프레임 릴레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전용선에 비해서 저렴한 유지비용
- 인터넷에 비해서 뛰어난 보안성
- 다양한 모양의 네트워크 구성
장거리 통신시 전용회선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인터넷에 비해서 보안성이 뛰어나므로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터넷의 속도가 빨라지고, VPN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프레임 릴레이의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프레임 릴레이는 아주 다양한 네트워크 형태(topology)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전이나 장애처리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많이 사용하며, 특히, CCNA, CCNP, CCIE 등과 같은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사람들은 프레임 릴레이를 자세히 공부해야 한다.
DLCI
프레임 릴레이에서 특정 상대방과 연결하기 위한 전송경로를 지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DLCI(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이다. DLCI는 이더넷의 MAC 주소에 해당한다. DLCI는 목적지당 하나씩 사용하며, 17부터 1007 사이의 임의의 번호를 부여한다.
프레임 릴레이망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DLCI 조합을 PVC(permanent virtual circuit)라고 한다. 다음 그림 R1의 s1/0인터페이스에서 DLCI 102로 프레임을 전송하면 항상 R2가 S1/0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DLCI 201로 수신한다. 그 이유는 그림과 같이 통신회사에서 미리 목적지까지 DLCI를 구성해 놓았기 때문이다.
DLCI는 구간별로 모두 동일할 필요가 없다. 인접한 두 장비사이에만 동일한 DLCI 번호를 사용하면 된다. 이것을 일컬어 'DLCI는 인접장비 사이에만 의미가 있다(locally significant)'고 한다.
# 풀메시(full mesh) 구성
모든 장비를 연결한다.
# 파셜 메시(partial mesh) 구성
부분적으로 연결한다.
이 외에도 프레임 릴레이를 이용하면 링(ring) 구조, 버스(bus) 구조 등 거의 대부분이 토폴로지를 마음대로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설정
여러 가지 토폴로지를 구성하여 테스트하려면 그때마다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에서 필요한 DLCI를 설정해야 하고, 귀찮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를 메시로 설정해 놓고, 원하는 구성에 따라 라우터에서 필요한 DLCI만 선택해서 사용하면 편리하다.
프레임 릴레이 테스트 네트워크 구축
R1,2,3,4
interface s1/0
encapsulation frame-relay
no shut
LMI
LMI(local management interface)는 프레임 릴레이 장비 사이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사용 가능한 DLCI 번호를 요청하고, 부여하며, PVC의 상태를 알려줄 때 사용한다.
LMI 타입
r1(config-if)#frame-relay lmi-type ?
cisco
ansi
q933a
인터페이스에서 사용가능한 LMI 프로토콜의 종류는 cisco, ansi, 및 q933a 세 가지가 있으며, 프레임 릴레이 장비 사이에 자동으로 협상을 하여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에 설정된 타입을 따른다.
프레임 릴레이가 설정된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면 LMI를 이용하여 스위치에게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DLCI 번호를 요청한다. 이처럼 LMI를 이용하여 DLCI를 요청하는 장비를 프레임 릴레이 DTE(data terminal equipment)라고 하며, 기본적으로 라우터의 인터페이스가 여기에 해당한다.
프레임 릴레이 DLCI 번호 할당 요청을 받았을 때 LMI를 이용하여 DLCI 번호를 할당해주고, 각 PVC(DLCI)의 상태를 알려주는 장비를 프레임 릴레이 DCE(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라고 하며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가 여기에 해당한다. 다음과 같이 show interfaces s1/0 명령어를 사용하면 인터페이스가 사용 중인 LMI 방식과 역할을 알 수 있다.
# LMI DLCI 0 LMI type is ANSI Annex D frame relay DTE segmentation inactive
결과를 보면 R1의 S1/0 인터페이스는 프레임 릴레이 DTE로 동작하며,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사이에 사용하는 LMI 타입은 ANSI Annex D이다.
PVC 상태 확인하기
LMI는 이처럼 DLCI 번호를 요청하고 부여할 뿐만 아니라 PVC의 상태도 알려준다. 특정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PVC 번호와 상태를 보려면 다음과 같이 show frame-relay pvc | include DLCI 명령어를 사용한다. (DLCI는 대문자 사용)
r1#show frame-relay pvc | include DLCI
DLCI = 102, DLCI USAGE = LOCAL, PVC STATUS = ACTIVE, INTERFACE = Serial1/0
DLCI = 103, DLCI USAGE = LOCAL, PVC STATUS = ACTIVE, INTERFACE = Serial1/0
DLCI = 104, DLCI USAGE = LOCAL, PVC STATUS = ACTIVE, INTERFACE = Serial1/0
104는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에서 할당받은 DLCI 번호를 표시한다
Deleted는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에서 할당받지 않은 DLCI 번호를 사용했다는 뜻이다. 만약 액티브(active)라고 표시되면 해당 PVC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상없이 동작한다는 의미이며, 인액티브(inactive)는 출발지의 인터페이스와 직접 접속된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사이에는 이상이 없지만, 그 이후의 어느 구간에서 문제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서브 인터페이스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R3의 인터페이스는 S1/0 하나인데 R2, R4와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두 개이다. 이처럼 물리적 인터페이스는 하나지만 복수개의 네트워크를 설정해야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서브 인터페이스다.
# 사용 가능한 서브 인터페이스 번호
r2(config)#interface s1/0.?
<0-4294967295> Serial interface number
# 서브 인터페이스의 종류
r2(config)#interface s1/0.123 ?
multipoint Treat as a multipoint link
point-to-point Treat as a point-to-point link
# 그림의 R2처럼 서브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연결되는 상대방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멀티포인트 서브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한다.
서브 인터페이스 사용원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할 네트워크에 비해 물리적인 인터페이스가 부조갛면 서브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하낟. 앞 그림 R3의 S1/0 인터페이스(r4- R2,R1)가 여기에 해당된다. 나머지 경우, 즉 물리적인 인터페이스가 부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브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안항도 된다.
- 서브 인터페이스 사용시, 직접 연결된 라우터가 둘 이상이면 멀티포인트 서브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한다. 앞 그림 R2의 S1/0.123이 여기에 해당하낟. 서브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연결된 ㅏㄹ우터가 하나이면 포인트 투 포인트 또는 멀티 포인트 어느것을 사용해도 된다.
라우터들은 상대방 라우터의 서브 인터페이스 사용여부를 알지 못한다. 따라서, 각 라우터 자신의 필요에 따라서 서브 인터페이스 사용여부를 결정하면 된다.
인버스 ARP
넥스트 홉(next hop) IP 주소 즉, 인접 IP 주소와 연결되는 DLCI를 지정하는 것을 넥스트 홉 매핑(mapping)이라고 한다. DLCI 번호와 넥스트 홉 IP 주소를 매핑하는 방법은 자동 매핑과 수동 매핑 두 가지가 있다.
먼저 자동 매핑에 대해서 살펴보자. 프레임 릴레이에서 자동으로 넥스트 홉 IP 주소로 가는 경로를 알려주는 것을 인버스(inverse) ARP라고 한다.
# 인버스 ARP가 동작하는 방식
1) R2의 S1/0인터페이스에서 인캡슐레이션을 프레임 릴레이로 지정하고 IP 주소를 설정한다.
2) R2가 LMI를 이용하여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에게 사용 가능한 DLCI 값을 요청한다.
3)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가 LMI를 이용하여 R2에게 사용 가능한 DLCI 값과 상태를 알려준다. 예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가 R2에게 사용 가능한 DLCI 값이 201과 203이라고 알려준다.
4) 이제, 인버스 ARP가 동작하여 R2는 할당받은 모든 DLCI로 자신의 IP 주소를 전송한다.
5) R1은 DLCI 102를 통하여 상대의 IP 주소가 1.1.123.2라는 인버스 ARP 프레임을 수신한다. R3도 DLCI 302를 통해 IP 주소가 1.1.123.2라는 인버스 ARP 프레임을 수신한다. 겨로가적으로, R1와 R3은 각각 DLCI 102, 302를 통하면 IP 주소 1.1.123.2라는 장비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인버스 ARP가 완료된다.
이더넷에서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기 위해서 사용하는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필요한 장비가 요청하여 동작한다. 그러나, 프레임 릴레이에서는 요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상대방의 Ip 주소로 도달할 수 있는 자신의 DLCI 값을 알게 되므로, 인버스(inverse,반대의) ARP라고 한다.
직접 매핑
프레임 릴레이 DLCI 번호와 넥스트 홉(next-hop) IP 주소를 매핑하는 방법은 자동 매핑과 직접 매핑 두 가지가 있으며, 앞서 자동 매핑 방식인 인버스 ARP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직접 매핑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자. 직접 매핑하는 방식은 다시 frame-relay interface-dlci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과 frame-relay map 명령어를 사용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인버스 ARP는 정밀한 제어가 불가능하여 잘 사용하지 않고 주로 직접 매핑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직접 매핑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포인트 투 포인트 서브 인터페이스에서는 frame-relay interface-dlci 명령어를 사용한다.
- 주 인터페이스나 멀티포인트 서브 인터페이스에서는 frame-relay map 명령어를 사용한다.
# R1의 DLCI 매핑
r1(config)#interface s1/0
no shut
r1(config-if)#encapsulation frame-relay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을 프레임 릴레이로 설정한다.
r1(config-if)#no frame-relay inverse-arp //인버스 arp에 의한 자동 넥스트 홉 매핑을 방지한다.
r1(config-if)#ip address 1.1.123.1 255.255.255.0 //아이피 주소를 할당한다
r1(config-if)#frame-relay map ip 1.1.123.2 102 broadcast //1.1.123.2를 DLCI102으로 보낸다
r1(config-if)#frame-relay map ip 1.1.123.3 102 broadcast
//1.1.123.3도 R2를 경유하므로 DCLI102로 보낸다. 만약 DLCI103으로하면 직접연결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드는 것과 똑같다.
# R2의 DLCI 매핑
r2(config)#int s1/0
r2(config-if)#encapsulation frame-relay
r2(config-if)#no frame-relay inverse-arp
r2(config-if)#no shut
r2(config-if)#interface s1/0.123 multi
## R2에서는 S1/0에 설정해야 하는 네트워크가 1.1.123.0 하나이기 때문에 주 인터페이스나 서브 인터페이스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 넥스트 홉 Ip가 두개이기 때문에 (1.1.123.1, 1.1.123.3) 서브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면 멀티포인트가 되어야 한다. 지금은 서브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다.
r2(config-subif)#ip address 1.1.123.2 255.255.255.0
// 서브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IP주소는 반드시 서브 인터페이스 부여해야 한다. 만약, 주 인터페이스에 L3 부여하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애의 원인을 찾기도 힘들다.
r2(config-subif)#frame-relay map ip 1.1.123.1 201 broadcast
r2(config-subif)#frame-relay map ip 1.1.123.3 203 broadcast
// 주 인터페이스나 멀티포인트 서브 인터페이스인 경우 frame-relay map 명령어를 사용하여 넥스트 홉 IP 주소를 매핑한다. R1과는 DLCI 번호 201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매핑했다. R3과는 DLCI 번호 203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매핑했다.
# R3의 DLCI 매핑
r3(config)#int s1/0
r3(config-if)#encapsulation frame-relay
r3(config-if)#no frame-relay inverse-arp
r3(config-if)#no shut
r3(config-if)#interface s1/0.123 point-to-point
r3(config-subif)#ip address 1.1.123.3 255.255.255.0
r3(config-subif)#frame-relay interface-dlci 302
r3(config-fr-dlci)#interface s1/0.34 point-to-point
r3(config-subif)#ip address 1.1.34.3 255.255.255.0
r3(config-subif)#frame-relay interface-dlci 304
R3에서는 주 인터페이스의 수가 부족하므로 서브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한다. 각 서브 인터페이스에서 연결되는 상대가 하나이므로 어떤 종류의 서브 인터페이스를 사용해도 무관하지만 모두 포인트 투 포인트 서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였다. 포인트 투 포인트 서버 인터페이스에서는 frame-relay interface-dlci 명령어를 사용하여 넥스트 홉을 매핑한다.
설정 도중에 DCLI를 지정하면 사용중인 DLCI 값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에는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을 HDLC로 변경했다가 다 시 프레임 릴레이로 변경한 후 설정을 계속하면 된다.
# R4의 DCLI 매핑
r4(config)#int s1/0
r4(config-if)#encapsulation frame-relay
r4(config-if)#no frame-relay inverse-arp
r4(config-if)#no shut
r4(config-if)#ip address 1.1.34.4 255.255.255.0
r4(config-if)#frame-relay map ip 1.1.34.3 403 broadcast
설정 확인 및 장애처리
이제 각 인접한 장비들끼리 핑이 된다.
R1# show ip route
r1#show frame-relay map
만약 핑이 되지 않으면 양단의 라우터에서 show running-config 명령어를 사용하면 인터페이스 활성화 여부, ip주소 및 DLCI 매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레임 릴레이 혼잡제어 기능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congestion control)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3비트의 필드를 사용한다.
-FECN 비트
FECN(forward-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프레임이 전송되어 오는 도중에 혼잡한 구간을 거쳐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 BECN
BECN(backward-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비트는 현재의 장비가 전송하는 프레임이 도중에 혼잡한 구간을 거치고 있다는 것을 상대측 장비가 알려줄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장비가 FECN 비트가 설정된 프레임을 수신하면 BECN 비트를 이용하여 송신장비에게 혼잡발생을 알려주도록 설정한다.
- DE 비트
DE(discard eligibility)가 1로 설정되면 혼잡 발생 시 이 프레임을 먼저 폐기한다.
프레임 릴레이는 전용선(L/l. leased line)으로 연결된 장비들 사이에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프레임 릴레이 교환망을 사용한다. 이때, 교환망 사업자와 고객가느이 계약 시 최저보장속도(CIR, committed information rate)를 지정한다. 즉, 아무리 프레임 릴레이 망이 혼잡해도 CRI 속도까지는 지원하겠다는 의미이다.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장 라우팅 테이블 (0) | 2013.03.21 |
---|---|
10장 라우팅 개요와 정적 경로 (0) | 2013.03.19 |
9장 장거리 통신망 (0) | 2013.03.18 |
^^ (0) | 2013.03.18 |
8장 RSTP와 MSTP (0) | 2013.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