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이나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상호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번호, 각 포트는 번호로 구별되며 이 번호를 포트 번호라고 한다.
포트번호는 0번 부터 65535번 내에서 정의되며 크게 세 종류로 분류 가능하다.
|
종류 |
범위 |
내용 |
|
Well-Known Port Numbers |
0~1023 |
기정 포트 번호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
|
Registered Port Numbers |
1024~49151 |
회사용으로 등록된 포트 번호 |
|
Dynamic Port Numbers |
49152~65535 |
동적 포트 번호 (자유롭게 사용 가능) |
|
포트번호 |
TCP/UDP |
서비스 |
설명 |
|
20 |
TCP |
FTP |
FTP 게시 서비스 (FTP 기본 데이터 전송) |
|
21 |
TCP |
FTP |
FTP 게시 서비스 (FTP 제어) |
|
22 |
TCP |
SSH |
SSH(Secure Shell) Remote Login Protocol |
|
22 |
TCP |
SFTP |
SSH File Transfer Protocol |
|
23 |
TCP |
Telnet |
Telnet (원격지 서버의 실행 창을 얻어냄) |
|
25 |
TCP |
SMTP |
메일 전송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
42 |
TCP |
Name Server |
Host Name Server |
|
53 |
TCP |
DNS |
Domain Name |
|
53 |
UDP |
DNS |
Domain Name Server |
|
67 |
UDP |
DHCP |
DHCP 서버 |
|
69 |
UDP |
TFTP |
Trivial File Transfer (인증없는 파일전송) |
|
70 |
TCP |
Gopher |
Gopher |
|
79 |
TCP |
Finger |
Finger |
|
80 |
TCP |
HTTP |
World Wide Web 게시 서비스 |
|
88 |
UDP |
Kerberos |
krb5 Kerberos (Kerberos 보안 규격) |
|
101 |
TCP |
Host Name |
NIC Host Name Server |
|
107 |
TCP |
rTelnet |
Remote Telnet Service |
|
109 |
TCP |
POP2 |
Postoffice Protocol (Version 2) |
|
110 |
TCP |
POP3 |
Postoffice Protocol (Version 3) - 메일 수신 |
|
119 |
TCP |
NNTP |
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
|
123 |
TCP |
NTP |
Network Time Protocol |
|
135 |
TCP |
RPC |
Distributed File System Replication |
|
143 |
TCP |
IMAP |
Internet Massage Access Protocol |
|
161 |
UDP |
SNMP |
SNMP (네트워크 관리) |
|
162 |
UDP |
SNMP-TRAP |
SNMP 트랩 아웃바운드 |
|
194 |
TCP |
IRC |
Internet Relay Chat Protocol |
|
213 |
UDP |
IPX |
IPX over IP |
|
389 |
TCP |
IDAP |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
|
443 |
TCP |
HTTPS |
HTTP protocol over TLS/SSL |
|
500 |
UDP |
IPsecISKMP |
Internet Key Exchange (로컬 보안 기관) |
|
515 |
TCP |
LPD(Printer) |
TCP/IP 인쇄 서버 (Printer Spooler) |
|
593 |
TCP |
RPC over HTTPS |
Exchange Server |
|
636 |
TCP |
LDAPS |
IDAP Protocol over TLS/SSL |
|
989 |
TCP |
FTPS |
FTP Protocol, Data, over TLS/SSL |
|
990 |
TCP |
FTPS |
FTP Protocol, Control, over TLS/SSL |
|
993 |
TCP |
IMAPS |
IMAP4 Protocol over TLS/SSL |
|
995 |
TCP |
POP3S |
POP3 Protocol over TLS/SSL |
|
1755 |
TCP+UDP |
MMS |
Windows Media Service |
|
1900 |
UDP |
SSDP |
SSDP 검색 서비스 |
|
2401 |
TCP |
CVS pserver |
CVS pserver |
|
2535 |
UDP |
MADCAP |
DHCP 서버 |
|
2869 |
TCP |
SSDP |
SSDP 검색 서비스 (이벤트 알림) |
|
3389 |
TCP |
Terminal |
NetMeeting 원격 데스크톱 공유 (터미널 서비스) |
|
4000 |
TCP |
ICQ |
ICQ |
|
5000 |
TCP |
SSDP |
SSDP 검색 서비스 (레거시 이벤트 알림) |
|
5722 |
TCP |
RPC |
Distributed File System Replication |
포트 번호는 IP 주소와 함께 쓰며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
http://xxx.xxx.xxx.xxx : port_Num |
위 표기에서 xxx.xxx.xxx.xxx은 IP 주소를 의미하며 port_Num 이 포트 번호를 의미한다.
IP 주소와 포트번호의 구분자는 : 를 사용한다.
포트 번호가 생략 가능한 예
|
서비스 |
URL |
설명 |
|
FTP |
File Transfer Protocol URL은 기본적으로 21번으로 연결 | |
|
HTTP |
World Wide Web URL은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 | |
|
HTTPS |
Https Protocol URL은 기본적으로 443포트를 사용 |
일반적인 경우에는 위와 같이 포트번호를 생략하고 사용할 수 있으나, 서버에서 다른 포트로 서비스를 할 경우
서버에서 정한 포트 번호를 명시해야만 해당 사이트로 접속 가능하다.
출처 http://blog.naver.com/siren258?Redirect=Log&logNo=155993675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7장 VLAN, 트렁킹 (0) | 2013.03.11 |
|---|---|
| 6장. 포트보안 (0) | 2013.03.11 |
| 6장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0) | 2013.02.28 |
| 6장 스위치 기본동작과 ARP, 포트보안 (스위치, ARP) (0) | 2013.02.27 |
| 5장. 스위치 기본설정 및 동작 확인. (0) | 2013.02.27 |